CategoryProgramming learning (88)

리눅스 쉘 & 리눅스 경고 메시지 한글로 변경

쉘(Shell) 리눅스의 명령어 작업을 할 때는 자동으로 쉘을 사용하게 되므로 리눅스를 정확하게 사용하려면 쉘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어야만 한다.리눅스 명령을 입력하는 행위자체가 쉘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리눅스의 커널과 사용자와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cat /etc/shells 로 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쉘명령어 만들기.예를들면 alias라는 명령어가 있다.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명령어를 새로 만들 수가 있다.만약에 ls -l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라고 할때 ls -l대신에 ll이라고 입력했을 시 ls-l명령이 실행된다면 손쉽게 ll만 눌러도 ls -l의 명령의 내용을 볼 수 있는 셈이다. ll과 ls -l과 결과가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alias 명령어로 ls -l을 대신하는 명령어가 추가되어..

리눅스 파일만들기, 옮기기, 복사, 삭제 및 화면 지우기

리눅스 파일만들기, 파일옮기기, 복사하기, 화면 지우기 mv - 이름변경 및 이동을 담당mv 원본파일 대상파일 예를들어 test.txt라는 파일이 있다고 치고 나는 /home 디렉토리로 옮기고 싶다면mv test.txt /home로 옮길수 있다.만약 mv test.txt test1.txt라고 한다면 기존의 파일은 사라지고 이름이 변경되게 된다.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파일 또는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를 수행한다.cp 원본파일 대상파일cp test.txt /home 이런식으로 사용한다면 test.txt파일은 그대로 있되 /home디렉토리에 또다른 test.txt파일이 복사되게 된다.cp test.txt test2.txt 이런식으로 사용한다면 내용이 똑같이 복사된 test2.txt를 생성하게 된다. ..

리눅스 vi edit 명령어

VI편집기(Vi edit) 리눅스나 유닉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이다.터미널에서 명령어 입력하듯이 실행해야 한다. 1. 명령상태 - 말 그대로 명령상태이다. vi를 킨 상태에서 ESC를 누르면 이 상태로 갈 수 있음.2. 입력상태(편집상태) - 직접 텍스트를 편집하는 과정이다. 문자나 숫자를 쓸 수 있다.3. :(콜론) 상태 - :(콜론) 상태는 vi를 종료할 때 저장하거나 끌때 사용하는 상태를 말한다(Shift+: 으로 갈 수 있다.) :상태 에서 q를 입력후 엔터를 치면 vi에서 나가진다 vi생성 또는 vi편집기로 편집하기vi 파일이름.txt 종료명령q : 저장안하고 종료q! : 강제종료wq : 저장후 종료 입력(편집)상태로 넘어갈 때 명령키i : 현재커서 앞쪽에 입력a : 현재커서 뒤..

리눅스 기본 명령어

passwd - 리눅스 계정 패스워드 변경터미널 창에 passwd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새로운 암호를 입력하라 나오고 재 입력 해준다. 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보기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을 보여준다ls -l : 현재 디렉토리 파일들의 더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ls /home :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을 보여준다 pwd - 현재 경로를 나타낸다. cd -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man 또는 --help - 명령어의 사용법에 관해 알려주는 명령어이다.[리눅스명령어] --helpman [리눅스명령어] more - 정보가 많을때 한페이지 분량으로 부터 시작해서 엔터를 처가며 조금씩 볼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라고 보면 된다.man ls | more whereis - 실..